
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.
PCX125 각종 소모품 교체 주기
1.엔진오일
최초 1000km 교체 후 매 5000km 마다 교체
(점검 유지 주기표에는 6000단위로 표기되었으나
정비메뉴얼에 5000으로 안내되어있습니다.)

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.
(PCX는 수냉식임)
엔진 오일 스트레이너 스크린
12000km 마다 청소
: 엔진오일 교체시 하단쪽 드레인볼트를 풀어 오일을 배출 후 엔진 좌측 옆면을 보면 드레인볼트가 1개 더 있습니다. 그곳 볼트를 풀면 안에 거름망이 있고 이것을 스트레이너 스크린이라고 합니다.
(청소는 새엔진오일에 담구거나 깨끗한 작은 솔등으로 찌거기등이 있을경우 털어주면 됨)
※ 제 개인적인 의견은 단 배달대행이나 퀵서비스 등 공회전 대기시간 및
가혹한 주행조건이 지속될 경우 1500~2000km 마다 교체해주는 것이 엔진보호에 더 좋다고 봅니다.
2.에어크리너
18000km 마다 교체
3.스로틀 유격등 작동상태 점검
6000km 마다
4.스파크플러그(점화 플러그)
6000km 마다 육안 점검 12000km 마다 교체
(플러그 탈거 후 상태가 양호하면 조금 더 주행한 후에 교체해 줘도 문제없음)
5. 냉각수
12000km 마다 냉각수 리저브 탱크 게이지 확인 후 상한선 아래로 내려가있거나 부족시 보충해줍니다.
교체의 경우 메뉴얼에서는 3년으로 되어있고 상황에 따라 교체주기는 앞당겨질 수 있음
6.드라이브 벨트
12000km 마다 점검 후 24000km 때 교체
: 12000km 때 구동계를 열어 드라이브페이스 내부 무브볼등의 외관 점검 및 청소
클러치슈 아우터 탈거 후 클러치슈 점검 및 청소
7.브레이크액
6000km 마다 점검 및 부족시 보충
8.브레이크 패드 및 라이닝
6000km 마다 패드의 마모상태 점검
(남은 패드의 양이 20% 이하시 안전을 위해 교체해주면 좋다고 봄)
ABS모델의 경우 앞뒤 패드 점검
CBS모델의 경우 앞 패드 뒤 라이닝 점검
9.클러치 슈
12000km 마다 점검 후 이상시 교체
(구동계 커버를 열어서 확인하므로 구동계 청소도 같이 해줌)
10.너트,볼트,패스너
12000km 마다 점검 후 재조임
11.휠, 타이어
6000km 마다
12.스티어링 헤드 베어링
12000km 마다
.

그밖의 참고사항
보증서


지역별 딜러 및 서비스대행점 & 판매점

2021 PCX125를 DIY하면서 가끔 정비 영상을 올려두고 있으니 참고용으로 한번 보시고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.
유튜브 닉넴 : 열슈모 TV